네트워크

패킷과 프로토콜

so-cloudy 2024. 12. 9. 23:30

데이터 전송 방식

회선 교환 방식

  • 일대일의 전송로를 만들고, 교환을 마칠때까지 전송로를 계속 사용하는 방식

패킷 교환 방식

패킷 헤더 데이터그램/세그먼트 헤더 UDP/TCP 페이로드

  • 네트워크 데이터를 패킷이라는 작은 단위로 나누어 네트워크로 보내는 방식
  • 패킷을 처리 하기 위한 규칙은 프로토콜

패킷 구성요소

L2헤더 L3 헤더 … 데이터(페이로드) L2 트레일러

  1. 헤더 (Header)
    • 패킷에 대한 중요한 제어 정보를 포함
    • 주요 내용:
      • 송신자와 수신자의 IP 주소
      • 패킷의 길이
      • 프로토콜 정보
      • 패킷 번호
  2. 데이터 (Payload)
    • 실제 전송하고자 하는 내용
    • 페이로드(Payload)라고도 불림
  3. 트레일러 (Trailer)
    • 일부 패킷에 존재
    • 패킷의 끝을 나타내거나 오류 검출에 사용
    • 체크섬(Checksum) 또는 CRC(Cyclic Redundancy Check) 등의 오류 검출 코드 포함

패킷 헤더

  • 데이터그램/세그먼트 앞에 붙는 두번째 헤더
  • 출발지/목적지 IP 주소를 포함
  • 라우터 장비가 라우팅 기능을 수행할 때 참조하는 부분

프로토콜

  •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규칙
  • 플로토콜 때문에 PC 제조사나 운영체제가 달라고 유무선에 관계 없이 패킷 교환이 가능

프로토콜에 결정된 것

  1. 물리적 사양
    • LAN 케이블 소재, 커넥터 형태, 핀 배열
  2. 송신 상대 특정
    • 패킷을 송신 할때는 DNS서버가 아니라 IP주소로 송신 상대 구별
  3. 패킷 전송
    • 헤더의 몇 번째 비트에서 몇 번째 비트까지 어떤 정보를 포함하고 어떤 순서로 교환하는지 등이 정의
  4. 신뢰성 확립
    • 에러를 알리거나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구조를 제공
    • 유안한 네트워크 자원이 패킷으로 가득 차서 잠기지 않도록 함
  5. 보안 확보
    • 통신 상대를 인증
    • 통신을 암호